![](https://blog.kakaocdn.net/dn/bo16bD/btrESlpV6EX/1JENMG9nw1Rn9OtHNI9o50/img.png)
오늘은 투자대가 10인의 미국증시에 대한 향후전망 의견을 정리해보았다.
투자 대가들의 생각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 언급했던 원문 그대로를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보다 자세한 내용과 원문 기사를 읽고 싶으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추가로 제레미 시겔 교수의 인터뷰까지 총 11명의 의견을 모았다.
Michael Burry and Jeremy Grantham are bracing for plunging stocks, stubborn inflation, and a painful recession. Here's what 10 e
David Einhorn, Stanley Druckenmiller, and other leading investors are predicting further pain for markets.
markets.businessinsider.com
1. 마이클 버리 (Michael Burry, 펀드매니저)
![](https://blog.kakaocdn.net/dn/dAVqyp/btrEM69nAFV/t7uw6IbWlcWfkyKfosn311/img.png)
마이클 버리는 지금의 하락이 2008년 금융위기보다 더 큰 충격을 줄 것으로 보았다.
그가 한 대표적인 말은 다음과 같다
- 주식시장이 하락하고 주택판매가 줄어드는 것을 보니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떠오른다
- 지금 하락하고 있는 주식시장은 마치 추락하는 비행기를 보고 있는 것 같다
- 미국인들의 개인 저축률이 지난 2008년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신용카드 부채는 팬데믹 이전 최고치 수준까지 늘어났다.
- 소비자들의 이런 소비추세때문에 미국 경제가 소비자 침체에 빠지고, 기업들은 추가적인 실적 악화에 직면할 것이다
2. 제레미 그랜섬 (Jeremy Grantham, 헤지펀드 GMO 공동창업자)
![](https://blog.kakaocdn.net/dn/tVEWQ/btrEPOmPCLE/ESLj6O8czZDzHAizGFRblk/img.png)
제레미 그랜섬은 지금 상황이 2000년대 닷컴버블 붕괴 당시보다 심각하다며, 주가가 지금보다 두 배는 더 빠질 것으로 예견했다. 그가 대표적인 말은 다음과 같다.
- 닷컴버블 시기에는 미국주식에만 거품이 끼었으나, 지금은 부동산, 채권, 원자재 등 모든 자산에 거품이 끼었다.
- 이는 19080년대 일본의 거대 자산 버블과 유사하다
- 지금 나스닥 지수가 30% 가량 빠진 상황에서, 최소한 이보다 두배는 더 빠질 것이다.
- S&P500 지수는 전고점에서 최소 40% 급락해 2880선으로 밀릴 가능성도 있다
3. 데이비드 아인혼 (David Einhorn, 그린라이트 캐피털 CEO)
![](https://blog.kakaocdn.net/dn/cx5bRN/btrESmXcbXZ/VD3iCYLVEEiNkWmH1oPau0/img.png)
데이비드 아인혼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고의 목소리를 높였고,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금 투자의 필요성에 대해 말했다.
대표적인 발언은 다음과 같다.
- FED가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는 것처럼 말하지만 이는 허세를 부리는 것
- 연준의 금리인상 정책은 눈 덮인 길거리를 아이스크림 주걱으로 청소하려는 것과 비슷하다
- 연준이 보다 공격적인 통화정책을 시행하지 않을 경우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손에서 벗어날 것
- 채권, 화폐 등에 대한 전 세계 각국의 신뢰가 무너진 상황에서 금이 훌륭한 대안이 될 것
- 당분간 다른 상품 대신 포트폴리오에서 금에 대한 비중을 늘려야 한다
4. 스탠리 드러켄밀러 (Stanley Druckenmiller, 듀케인 패밀리 창업자)
![](https://blog.kakaocdn.net/dn/bBCPYh/btrER3RhnHp/k5VJWORNKCdpif9pyYdK01/img.png)
드러켄밀러는 FED가 연착륙을 유도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 FED가 연착륙에 성공한 것은 역사적으로 2번이나 3번 정도에 불과했다
- 아직 베어내야 할 나무가 너무 많고, 광범위한 자산 거품이 진행 중에 있다
- 인플레이션이 5% 위로 오르면 침체 없이 절대로 꺾이지 않는다
- 약세장에서 매도측에 서서 공격적으로 움직인다면(=공매도) 상승세가 나타났을 때 당신의 머리를 강타할 수 있다
- 나는 숏포지션에도 들어가지 않고 단순히 하락세를 피하면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 자산 거품의 정도, 시장 붕괴의 정도, 우크라이나 사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등을 고려하면 2023년 언젠가 경기침체를 겪을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5. 데이비드 루벤스테인 (David Rubenstein, 칼라일그룹 공동창업자)
![](https://blog.kakaocdn.net/dn/5G7u4/btrENVfzT0m/F9DloUabfXYdgSZ2mkQ2pk/img.png)
데이비드 루벤스테인도 미국이 경기침체를 피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는 보았지만,
앞의 네 명보다는 연준에 대한 신뢰가 강한 것으로 보인다.
- 벤 버냉키 전 연준의장이 말한 것처럼 지금 상황은 1970년대와는 다르다
- 1970년대는 인플레이션이 15%가량 나타나 금리를 19%까지 올렸으며, 연준의 지식과 능력도 그 당시보다 훨씬 높다
- 연준은 경착륙이나 침체를 피할 능력이 있지만 쉽지는 않을 것이다
- 경기침체와 고용하락 없이 금리를 올리기 위한 노력을 연준이 잘 해내고 있으며 제롬 파월 의장을 시장이 신뢰하고 있다
6. 톰 시벨 (Tom Siebel, C3.ai CEO)
![](https://blog.kakaocdn.net/dn/bBgoTO/btrEOuotIZ7/HEfKQ5Jl4kEiDydCooevfK/img.png)
톰 시벨은 지금의 시장 환경을 완벽한 폭풍(perfect storm)으로, 향후 몇 년 동안의 시장 환경을 다소 불안정할 것(a little rocky)으로 묘사했다.
- 역병, 기근, 전쟁, 죽음 등 묵시록의 4명의 기수가 모두 동시에 일어났다
- 식품, 연료 및 임대료가 얼마나 치솟앗는지를 감안할 때, 미국의 인플레이션 8%이라는 수치는 웃음이 나온다
- 최근 빅테크 기업들의 고용 동결 조치는 닷컴버블과 금융위기 사태가 있기 몇달 전을 떠오르게 한다
7. 다운 피츠패트릭 (Dawn Fitzpatrick, 소로스펀드 CEO)
![](https://blog.kakaocdn.net/dn/cKmT0I/btrER25Wbmx/kB0wNwRbDOMuvaLdZdlCi1/img.png)
다운 피츠패트릭은 경기침체를 피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았으나, 그 시기는 앞의 6명 보다는 늦을 수 있다고 보았다.
- 결국은 경기침체로 갈 것이며 이는 피할 수 없다
- 미국 소비자들은 좋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경기침체가 시장이 예상하는 것보다 늦게 도래할 수 있다
- 암호화폐는 주류가 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존재할 것이다
8. 하워드 막스 (Howard Marks, 오크트리캐피털 회장)
![](https://blog.kakaocdn.net/dn/uQ5XX/btrER3juzSl/SKf3K5mUaDChwSdtV0uhWK/img.png)
그는 지금이 싸게 살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말하며 하락장이 거의 다와 감을 암시했다. 이와 동시에 과도한 레버리지와 신용투자를 경계하기도 했다.
- 경기침체로 인해 시장 호황기에 과도한 투자를 하거나 너무 많은 부채를 쌓은 투자자가 누구인지 드러날 것
- 바겐세일 사냥꾼들에게 지금은 기회가 될 수 있다
- 우리는 6개월 전보다 오늘이 더 행복하다
9. 로버트 헤이야비치 (Robert Herjavec, 샤크탱크 투자가)
![](https://blog.kakaocdn.net/dn/z8dFr/btrESQcBVqB/pEj7ZCIT6QavjVEVC9v8X0/img.png)
- S&P500과 나스닥은 추가로 최대 30% 더 하락해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저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다
- 현재 시장에는 1) 두려움 2) 불확실성 3) 의심 이 가득하다
- 빅테크 기업보다 중소기업들이 더 위험한데, 이들은 더 높은 이자율에 직면해있고, 사람들을 고용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임금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10. 케빈 오리어리 (Kevin O'Leary, 샤크탱크 투자가)
![](https://blog.kakaocdn.net/dn/cW5Z8q/btrESQDG5kO/NAePsoKGaK17fcJo7rIQWk/img.png)
- 경기침체 위험은 생각보다 낮다
- 소비자들은 여전히 공급망 중단으로 인해 이전에 받았던 경기부양 자금을 다 지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 존슨앤존슨, 화이자, 알파벳, 메타 등은 아주 할인된 상태로, 지금이 이 주식들을 살 수 있는 좋은 기회다
11. (추가) 제레미 시겔 (Jeremy Siegel, 와튼대 교수)
![](https://blog.kakaocdn.net/dn/dDNmBs/btrETAnt8F4/tgQbzEUi8S0gQW81voh281/img.png)
- 지금 주식을 사두면 1년 뒤 후회하지 않을 것
- 증기사 앞으로 얼마나 더 떨어질지는 모르지만 이는 향후 주식 수익률이 올라가고 있다는 의미
- 시장에서 버티고 현금이 있다면 주식에 배분하기 시작하라
- 역사적으로 S&P500 지수가 소비자물가지수를 1년에 4~5%포인트 가량 앞선 것처럼 주가 지수가 인플레이션을 극복해 나갈 것
- 시장이 이미 내년 경기침체 가능성을 반영했다고 본다
'★ 돈 ★ > 해외주식 공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추가하락 가능성은? (뱅오아, 블랙록, 골드만삭스, 도이체방크 의견 정리) (6) | 2022.06.20 |
---|---|
[미국증시] S&P500 베어마켓 진입- 베어마켓 역사, 통계자료 총정리 (4) | 2022.06.16 |
[미국증시] 경기침체 온다고 주식 다 팔면 망하는 이유 (8) | 2022.06.13 |
[미국증시] 내부자 매수 급증, 반등의 신호일까? (내부자 거래 확인 방법) (8) | 2022.06.06 |
[미국증시 급등] 반등 이유, 반대 논리 총정리 (11) | 2022.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