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꿀 ★/명문, 명연설 전문

싸이를 비판한 이엘을 역비판한 이선옥 작가 [명문, 명연설 #1]

by 꿀돈잼 2022. 6. 16.

·

·

쉽게 읽히면서도 읽은 사람이 느끼는 바가 있도록 해주는 글은 많지 않다. 

그런 글이나 말이 있으면 전문을 여기에 적고 시간이 날 때마다 두고두고 읽어보려고 한다. 

 

오늘은 첫번째로 '싸이를 비판한 이엘'을 역비판한 이선옥 작가의 글이다.

 

1. 사건 개요

가뭄이 계속된 상황에서 싸이의 '흠뻑쇼'가 한번의 콘서트에 물300톤을 사용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이에 대해 배우 이엘은 자신의 트위터에 "워터밤 콘서트 물 300톤 소양강에 뿌려줬으면 좋겠다"라고 적으면서 싸이의 콘서트를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이선옥 작가의 명문은 여기서 탄생했다. 이 작가가 페이스북에 '이엘 사태로 보는 PC주의 운동의 특징'이라는 글을 올리면서 이엘의 행태를 비판한 것이다.

 

(참고) PC주의 - 정치적 올바름
말의 표현이나 용어의 사용에서 인종, 민족, 언어, 종교, 성차별 등의 편견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자는 주장을 나타낼 때 쓰는 말이다. 특히 다민족 국가인 미국 등에서 정치적인 관점에서 차별과 편견을 없애는 것이 올바르다고 하는 의미에서 사용하게 된 용어이다. 

 

다음은 이선옥 작가의 글 전문이다.

 

2. [전문] 이엘 사태로 보는 PC주의 운동의 특징

피씨주의자들은 우선 개인적 불편함 발산에 공적 의제의 외피를 두른다. 그러면 예민하고 불만 많은 민중에서 정의로움을 추구하는 개념인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행동에는 선민의식, 엘리트의식, 주목에 대한 욕망, 지적 욕망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한다. 

 

피씨주의자들은 변화를 위한 행동보다 자신의 정의로움을 어필하는데에 관심을 둔다. 배우 이엘이 가뭄이라는 자연재해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적으로 하는 실천은 '소셜미디어에 한마디 쓰기'이다. 

 

평소 실천을 해왔다면 특정 콘서트를 겨냥한 '일침'보다 자신이 하고 있는 실천을 드러내어 더 많은 사람들의 실질적 행동을 만들어내는 쪽을 택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빨래를 모아서 세탁기를 돌리다거나, 양치질과 설거지할 때 물을 틀어놓지 않는다거나, 마지막 헹굼물에 손빨래를 한다거나 하는 생활습관의 개선부터, 물부족 때문에 피해를 입은 농가를 지원할 방법을 찾는다거나, 사람들이 동참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 이를 알리는 글을 쓸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엘의 행동은 '가뭄에 물을 뿌리며 콘서트나 하는 개념없는 타인에게 일침을 가하는 정의로운 나'에 대한 과시에 가깝다.

 

더구나 이번 발언은 타인의 직업영역에 대한 존중이 없는 점에서도 문제다. 더운 시기에 관객들과 물을 뿌리며 노는 콘서트는 이제 하나의 시즌상품이 되었고 많은 이들이 이 콘서트를 기다린다. 뮤지션과 스텝들은 이 콘서트를 위해 많은 비용과 시간과 노력을 들여 준비한다. 여름 한 철 지자체는 거리에서 물총을 쏘는 행사를 열기도 하고, 분수쇼를 열거나, 수영장을 개방해 더위에 지친 시민들을 위로한다. 

 

물300톤이라는 말은 매우 선정적으로 들릴 수 있다. 그러나 그에게는 그의 사정이, 나에게는 나의 사정이 있든, 계획된 일에 대한 이런 식의 비난은 타당한 이유 없이 타인을 이웃에 대한 연민이라고는 없는 나쁜 사람으로 만든다. 

 

피씨주의자들은 타인의 사정을 배려하거나 종합적인 사고를 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그런 일이 있어서는 안되지만 만일 이엘이 영향력이 커서 콘서트가 실패하기라도 한다면 그 작업에 기대어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의 삶은 타격을 입게 된다. 가뭄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도 있으니 견디라고 할 것인가? 피씨주의자들은 다양한 이해관계가 걸려있는 문제를 종합적으로 바라보려는 노력이 없다. 자신이 문제라고 생각하는 불편함에만 편협한 관심을 갖는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는 언제나 어떠한 형태로든 불행이 닥치고 이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그들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나누려는 마음은 권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스스로 실천하기보다 타인의 행위를 규제하는 해결책을 말하는 사람들의 욕망은 위함할 뿐 아니라 해결책이 될 수도 없다. 

 

가뭄이라는데 물을 낭비하는 듯 보이는 콘서트가 탐탁치 않게 여겨질수는 있다. 그럴 때 보통의 사람들은 그 콘서트에 가지 않는 것으로 자신의 정의를 실천한다. 그 콘서트 때문에 가뭄이 생긴 것도 아니고, 그 콘서트에 참여하는 뮤지션과 관객들이 타인에 대한 연민이 부족한 것도 아니라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나만이라도 그 소비에 동참하지 않음으로써 죄책감을 덜 수 있다면 콘서트를 가지 않는 것으로 실천하면 되는 것이다. 

 

이엘은 가뭄일 때 자신이 출연하는 작품에서 살수차를 동원한다면 이를 비난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가? 산불이 났을 때는? 홍수가 났을 때는? 경제가 어려울 때는? 많은 불행들 앞에서 그때마다 누군가의 중요한 직업영역을 비난하는 것으로 변화와 정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는가?

 

피씨주의자들은 자신의 행동을 정의를 위한 용기있는 행동으로 여긴다. 자신의 비판이 논리가 부족하거나, 사실과 부합하지 않을 때조차도 마치 부당한 탄압을 받는 순교자처럼 인식한다. 

 

피씨주의 운동의 특징은 변화가 아니라 동요를 일으켜 자신의 정의로움을 과시하고, 동요 자체에서 오는 혼란을 정의라 여기며, 결국 타인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권력을 가지는 것이다. 

 

이엘이 그러한 권력을 얻으려 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대체로 선민의식, 엘리트의식, 주목에 대한 욕망, 지적 욕망 등을 가진 사람일수록 피씨주의 운동의 속성과 부합하기 때문에 곧잘 경도된다는 의미이다. 

 

가뭄은 가뭄대로 빨리 극복되기를 바라고, 워터밤 콘서트도 계획한 대로 잘 끝나서 코로나로 얼어붙은 공연계가 다시 살아나면 좋겠다. 대다수 시민들은 모두 이러한 마음으로 살아간다. 

 

당신의 예민함이 곧 정의가 아니며, 당신의 불편함이 곧 불의의 근거도 아니다. 

 

 

3. 이 글을 읽은 사람들의 반응

  • 마지막 부분이 인상깊네. 국민들은 공연계도 활성화되는 걸 원하고 가뭄도 진정되길 원할 뿐, 결국 전국적인 가뭄은 비가 안오는 이상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인데 본인이 SNS에 한 위선으로 애꿎은 공연 즐기려는 사람들하고 아티스트만 불편하게 만들어버린거임
  • 문제는 이런 글을 읽어도 선민의식에 빠진 사람들은 절대 계몽하지 못함. '정의란 무엇인가' 책의 저자는 확신하는 정의는 악이라고 말했는데도 불구하고 정의에 확신찬 애들이 선민의식에서 못 벗어남 
  • PC라는 용어는 되게 오만한 용어라고 생각함. 결국 사람의 주관이나 입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건데 'correctness' 라는 용어에서 볼 수 있듯이 마치 정답이 있다는 뉘앙스를 내포하고 있음. 본인들은 다양성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동시에 의견의 다양성은 묵살하는 이중성을 갖고 있지.